[자녀교육] 자녀교육을 방해하는 것들
♥ 아이는 원래 착하다
때로는 부모의 잘못된 믿음이 자녀교육을 방해하기도 한다. 그 첫 번째 믿음이 바로 ‘아이는 원래 착하다.’라는 생각이다. 부모는 아이가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법을 배울 것이라고 믿는다. 아이들은 이미 태어날 때부터 착한 마음과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부모가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잘 자란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것은 착각이자 오해다. 루소는 아이가 인간적 감정과 사회적 감정을 느끼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하다(『에밀』)고 주장했다. 또 그는 어렸을 때 교육받지 못한 아이는 이러한 감정을 느낄 수 없다고 했다. 아이가 무엇이든 결정하도록 하고, 보고 싶은 대로 현실을 보도록 내버려 두는 것은 아이를 심각한 폭군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 아이의 모든 부정적인 행동에 유의해야 한다
부모는 아이가 하는 말과 감정 표현에 대단히 민감하다. 특히 그것이 부정적인 감정 표현일 때는 더욱 그러하다.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대단히 유연하고 상대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똑같이 화를 내고 짜증을 내더라도 상황에 따라 그 감정의 원인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가 갑자기 밥을 거부하고 방에만 틀어박혀 있다면, 혹은 평소 부모의 말을 잘 듣던 아이가 갑자기 신경질을 내고 반항한다면, 이는 분명히 무슨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숙제 때문에 원하는 만화를 볼 수 없거나 원하는 놀이를 하지 못해 우는 것이라면, 이는 자신의 요구나 바람이 충족되지 않는 상황에 짜증이 난 것이다. 아이가 진심으로 슬프거나 우울한게 아니라는 것이다. 이처럼 아이의 행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정 그 자체가 아니라 아이의 현실을 이해하고, 아이의 행동에 담긴 ‘현실적인 의미’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욕구의 지연과 거절을 받아들이는 훈련을 시킬 수 없을 것이다.
♥ 강압적인 교육은 좋지 않다
아이가 누리는 신체적이고 정서적인 안정만이 아이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물론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애정을 쏟는 것은 중요하다. 이와 별개로 부모는 아이를 위해 억지로 야채를 먹이거나 공부를 시키는 등 아이의 즐거움에 상반되는 요구를 하게 된다. 이때 부모는 아이에게 너그러울 수 없다. 물론 언어 폭력을 사용하거나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되지만 때로는 아이에게 단호하고 큰 소리로 말해야 한다. 그리고 아이가 습관적으로 부모의 말에 반항하고 불복종한다면 체벌을 할 필요도 있다.
♥ 무언가를 부탁하기에 아이는 너무 어리다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회원가입을 하시면 편리한 시간에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학기 증후군 극복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봅시다. (0) | 2017.11.04 |
---|---|
유대인의 자녀교육 (정서지수는 인간사회에서 더 필요한 요인) (0) | 2017.11.02 |
유대인의 자녀교육 (어머니의 가슴에서 시작된다.) (0) | 2017.11.02 |
유대인의 자녀교육 (어머니의 역할은 중요하다.) (0) | 2017.11.02 |
유태인의 자녀교육 (어머니가 책임진다) (0) | 201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