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의 자녀교육 (어머니의 역할은 중요하다.)
가정에서의 우선적인 교사는 아버지이다. 아버지는 자녀에게 사상과 토라를 가르칠 의무가 있다. 아버지가 교사로서 자녀들에게 사상과 토라를 가르치는 방법은 자녀의 이성을 사용한다. 그리고 아버지가 교사로서 자녀들에게 사상과 토라를 가르치는 시기는 자녀들이 세 살 이후 철이 든 이후 논리적인 생각을 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어머니는 자녀의 신앙과 관계가 있다. 어머니의 자녀 교육 시기는 아이를 낳기 전 뱃 속의 태아부터 시작이 된다. 그리고 어머니는 자녀를 낳은 후 자녀가 철들기 전에도 자녀에게 종교생활로 자녀의 신앙이 형성되도록 돕는다. 이러한 신앙교육 방법은 믿음의 어머니 몫이다. 따라서 어머니는 자녀에게 신앙을 전수시킨다. 이를 정리하면 아버지가 자녀들에게 하나님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은 ‘이성’이고, 어머니가 자녀들에게 하나님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은 ‘신앙’이다.
어머니의 의미
어머니란 히브리 단어부터 살펴보자. ‘어머니’란 히브리어 단어는 ‘엠(םא)’ 이다. 어머니에 해당하는 ‘엠’은 첫째는 ‘신앙’ 혹은 ‘믿음’을 뜻하는 ‘에무나’이고, 둘째는 ‘진리’를 뜻하는 ‘에메트’이다. 셋째는 기독교인도 항상 사용하는 ‘아멘’이란 단어이다. 특히 유대인은 ‘아멘’이란 단어를 축복의 말씀을 받을 때나 혹은 축도 후 그 내용에 대한 확인 혹은 동감을 표하는 대답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가정에서 어머니는 가족의 신앙, 진리, 아멘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어머니의 신앙과 자녀의 신앙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왜 어머니는 자신의 신앙을 자녀에게 전수시켜야 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하나님이 여성을 창조할 때 부여하신 여성의 의무를 알아보자. 창세기 3:20절에는 아담이 그 아내에게 하와란 이름을 지어주었다. 아담과 하와가 타락한 이유였다. 아담과 하와가 타락하기 이전에는 둘 다 사람으로 불려졌다(창1:27). 다시말하면 타락하기 이전에는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사람’이란 단어속에 남자와 여자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면 ‘왜 타락한 이후 아담이 자신의 아내 이름을 하와라고 불렀을까’와 ‘하와란 단어에는 무슨 뜻이 있는가’를 알아보자. 첫째, 아담이 ‘하와’라고 부른 이유는 하와가 “모든 산 자의 어머니”가 되었기 때문이다(창3:20). 이 말은 모든 인간은 어머니를 통하여 이 세상에 태어나게 되고, 하와는 모든 어머니의 대표란 뜻이다.
둘째 하와란 단어의 뜻에는 ‘여성의 의무’가 나타난다. ‘하와’란 히브리 단어는 생명을 주는 자‘란 뜻을 가지고 있다. 당시 아담과 하와가 타락한 이후에는 인류는 죽어야 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인간 개개인은 죽되 인류 전체는 계속 살아 움직이기를 바랬다. 인류의 종족이 보전되는 유일한 방법은 여성이 애기를 낳는 것이다. 여성은 생명을 주는 것이다. 유대인 정통파 랍비 허쉬는 “어머니는 자녀에게 육신적인 생명만 주는 것이 아니고, 영적 생명인 신앙을 주는 사명도 갖고 있다”고 설명한다. 즉 어머니는 자녀에게 육신적인 생명과 영적 신앙을 전수해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회원가입을 하시면 편리한 시간에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학기 증후군 극복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봅시다. (0) | 2017.11.04 |
---|---|
유대인의 자녀교육 (정서지수는 인간사회에서 더 필요한 요인) (0) | 2017.11.02 |
유대인의 자녀교육 (어머니의 가슴에서 시작된다.) (0) | 2017.11.02 |
유태인의 자녀교육 (어머니가 책임진다) (0) | 2017.11.02 |
[자녀교육] 자녀교육을 방해하는 것들 (0) | 201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