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의 동기부여 수준을 파악하는 것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목표를 세우고 공부하겠다는 의지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보통 학습자가 자기주도학습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는 대부분 학습자의 수준이 동기부여 1번째 단계인 '자신의 생활습관, 학습습관을 이해하는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두번째 목표는 동기부여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자가 2번째 동기부여 수준 정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실천 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목표를 세우고 공부하겠다는 의지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과정이 지나면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던 학습 형태보다는, 스스로 공부하는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 왜 공부해야 하는지, 학습 목표가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학습자가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한마디로 표현하면 학습자가 자기주도학습에 강한 확신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의 훈련 동안 학습자가 일정 시간(주기)에 자기주도학습의 성과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누차 강조했듯이 자기주도학습은 단시간에 얻어지는 학습 습관이 아니라 일정 기간 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 학습자에게 오랜 기간의 훈련이 가능할까? 안그래도 동기부여(실천의지)가 부족하여 힘든 마당에, 자기주도학습을 장기간 훈련 진행하기는 무척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자기주도학습의 결실을 보기 위해서는 학습자 혼자의 노력만큼이나 학습지도자(멘토)의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을 계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진행 과정에서 계속적인 작은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을 수 있게 하는 지도가 필요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프로그램 중 하나가 독서이다. 동기부여에 가장 좋은 방법은 학습자에게 독서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자기주도학습의 동기부여에 가장 필요한 습관은 독서이며, 또한 독서는 동기부여 외에도 학습자에게 여러 긍적적인 효과를 줄 것이다.
자기주도학습의 진행이 깊어질수록 점점 쌓여진 자신감과 성취감은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확신으로 바뀔 것이다.
예를 들어, 자기주도학습 초기의 학습자는 자신의 공부법, 학습계획(학습시간, 학습량) 등에 대해 끊임없이 의심한다. 내가 하는 방법이 맞는건가? 왜냐하면 아직 자기주도학습을 통한 성취감을 맛보지 못해서이다. 그래도 꾸준히 자기주도학습을 실천하여 성적이 오르고 전교 등수가 목표 이상의 결과로 나타나면, 그 성취감은 바로 자신감이 된다. 이렇게 계속적으로 자신감과 성취감이 선순환하며 자기주도학습의 실천을 독려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을 실천에 있어 학습 환경 또한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한 학습자의 노력은 물론 학부모의 관심도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영어 > 학습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코칭 /학습자의 동기부여 수준을 파악 (0) | 2017.10.09 |
---|---|
자기주도학습의 긍정적인 결과는 학습효과 상승 (0) | 2017.10.05 |
[시험 잘보는법] 시험 긴장을 푸는 방법 (0) | 2017.10.04 |
[학습코칭] 논술전형으로 대학가는 이유는? (0) | 2017.09.27 |
공부하기 싫을 때, 어떻게 하면되나요 ? (0) | 2017.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