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학습의 긍정적인 결과는 학습효과 상승
자기주도학습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훈련 과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리고 그 시기는 빠를수록 좋겠지만, 일반적으로 학습법이 필요하고 공부를 해야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시기인 초등학교 4학년 이후를 말한다.
초등학교 4학년에서 늦어도 6학년까지는 자기주도학습법에서 언급한 준비단계의 동기부여 과정이 필요하겠다.
동기부여 과정에서 얻고자 하는 점은 본인이 공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
그런데 초등학생이 '난 OO 때문에 열심히 공부한다"라는 생각을 구체화시키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또한 자녀가 그 이유를 찾았다 해도, 계속적으로 동기 부여되도록 독려해 주고, 여러 방법의 경험을 통해 학습 동기가 뚜렷해지고 확신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어야 한다.
이렇듯 동기부여 과정은 일회성의 과정이 아니고 자기주도학습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멘토링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부족한 동기 부여가 구체화되고 확신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방법으로 독려해 줘야 한다.
그리고 자신감과 성취감은 자기주도 학습이 익숙해 질수록 커졌고, 자기주도학습에서 얻어진 결과물들이 계속적인 동기 부여의 선순환 효과를 가져왔다
'영어 > 학습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코칭] 공부하는 방식부터 바꾸어라 (0) | 2017.10.12 |
---|---|
학습코칭 /학습자의 동기부여 수준을 파악 (0) | 2017.10.09 |
[학습코칭] 학습자의 동기부여 수준을 파악하는 것 (0) | 2017.10.05 |
[시험 잘보는법] 시험 긴장을 푸는 방법 (0) | 2017.10.04 |
[학습코칭] 논술전형으로 대학가는 이유는? (0) | 2017.09.27 |